뉴스쉐어 NewsShare - 시대를 이끄는 새로운 정론!

2019년 6월의 독립운동가 '한용운 선생'

우리 민족이 낳은 위대한 저항 시인이자 승려인 독립투사

조귀숙 기자 | 기사입력 2019/05/31 [19:53]

2019년 6월의 독립운동가 '한용운 선생'

우리 민족이 낳은 위대한 저항 시인이자 승려인 독립투사
조귀숙 기자 | 입력 : 2019/05/31 [19:53]

'자유는 만유의 생명이요, 평화는 인생의 행복이다'

 

▲ [제공=국가보훈처]    

[뉴스쉐어=조귀숙 기자] 국가보훈처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한용운' 선생을 2019년 6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고 31일 밝혔다. 


한용운 선생은 1879년 8월 29일 충남 홍성군 결성면 성곡리에서 태어났다. 1913년 한국불교가 새로운 문명세계에 적응할 수 있는 개혁 방안을 제시한 기념비적 책인 '조선불교유신론'을 발간했다. 그때부터 불교의 혁신 운동을 일으킨 주역이라는 정체성을 갖게 됐다.


1919년에는 종교계를 중심으로 추진된 전국적이며 거족적인 3·1운동 계획에 주도적으로 참여했으며. 불교계에 '독립선언서'를 배포하고 탑골공원에서의 만세운동 및 전국적인 만세운동에 적극 동참하도록 권유했다.


그 후 1919년 3월 1일 종로 태화관에 모인 민족대표들은 독립선언식을 가진 후 모두 일경에게 체포됐다. 그는 1921년 12월 21일 석방된 뒤에도 민족운동을 계속해 갔다.


또 1922년부터 전국적으로 확산된 물산장려운동을 지원했다. 1923년에는 조선민립대학 기성회 상무위원으로 피선돼 활동했다.


선생은 1933년 55세 되던 해 지금의 성북동 집터에 심우장(尋牛莊)이라는 자신의 집을 짓고 입적할 때까지 여생을 보냈다. 집을 지을 때 선생을 돕던 인사들이 여름에 시원하고 겨울에 볕이 잘 드는 남향으로 터를 잡을 것을 권유했으나 총독부 청사가 보기 싫다고 해 끝내 동북 방향으로 집을 틀어 버리고 말았는데 여기에서 선생의 민족적 자존심을 엿볼 수 있다.

 

▲ [제공=국가보훈처]    

 

그는 또 일제말기 총동원체제 아래 자행된 황민화 정책의 거센 파도 속에서도 민족적 자존심을 꺾지 않았다. 환갑을 넘긴 나이에도 불구하고 1940년 창씨개명 반대 운동, 1943년 조선인 학병출정 반대 운동 등을 펴기도 했다.


1944년 6월 29일 그토록 그리던 조국광복과 민족독립을 눈앞에 두고 입적했으며, 유해는 망우리 공동묘지에 안장됐다.


한편,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수여했다.

  • 도배방지 이미지

이동
메인사진
김재환, 27일 개최 팬콘서트 'WIND TALE' 포스터 추가 공개! 팬사랑 가득 공연 예고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광고
광고
광고